반응형

해부학 26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7

이전 글 : 2025.03.05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6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6이전 글 : 2025.03.05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이전 글 : 2025.02.27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43) 가슴대동맥(wonu-1.tistory.com  5) 온엉덩동맥(총장골동맥, Common iliac artery)제4허리뼈몸통 앞의 배대동맥이 왼쪽과 오른쪽 아래로 갈라져 나온 약 5cm 길이의 굵은 혈관으로서, 다시 엉치엉덩관절 앞에서 속/바깥 엉덩동맥의 둘..

해부학 2025.03.15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6

이전 글 : 2025.03.05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이전 글 : 2025.02.27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43) 가슴대동맥(흉대동맥, Thoracic aorta)제4등뼈 높이에서 시작하여 척주의 왼쪽을 따라 내려가서 제12등뼈 높이에 있는 가로막wonu-1.tistory.com 위창자간막동맥의 주요 가지는 다음과 같다. a. 아래이자샘창자동맥(하췌십이지장동맥, inferior pancreaticoduodenal artery) : 시작 부위에서 시작하여 이자머리와 샘창자 사이로 오른쪽 위로 향하고, 앞서 말한 위샘창자동맥에서 분지되는 위..

해부학 2025.03.05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

이전 글 : 2025.02.27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43) 가슴대동맥(흉대동맥, Thoracic aorta)제4등뼈 높이에서 시작하여 척주의 왼쪽을 따라 내려가서 제12등뼈 높이에 있는 가로막의 대동맥구멍에 이르는 큰 동맥이다. 주요 가지는 가슴벽을 양육하는 갈비사이동맥(늑간동맥, intercostal arteries)이며, 이는 가슴대동맥 좌우에서 제3~11갈비사이공간에 9쌍이 분포하고 있다. 맨 아래의 1쌍은 제12갈비뼈 밑에 분포 하는 갈비밑동맥(늑하동맥, subcostal arteries)이라고 하며, 맨 위 2쌍의 갈비사이동맥, 즉 제1,2 갈비사이에서는 빗장밑동맥의 분지인 맨위갈비사이동맥(최상늑간동맥, highest intercostal ..

해부학 2025.03.05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4

b. 속가슴동맥(내흉동맥, internal thoracic artery) : 척추동맥이 분지하는 맞은편에서 분지하여 가슴벽에서부터 배벽에 걸쳐서 가슴우리 속을 하행하는 주요한 동맥이다. 앞가슴벽 뒤면에서 복강의 양측을 따라서 하행하여 가로막을 관통한 후 배 곧은근에 들어가서 위배벽동맥(상복벽동백, superior epigastic atery)이 된다. 이것은 바깥엉덩동맥(장골동맥)에서 시작하여 상행하는 아래배벽동맥(하복벽동맥)과 배곧은근안(배꼽 높이)에서 연결된다.즉, 속가슴동맥과 위 • 아래배벽동맥은 가슴배벽을 지나는 대동맥의 커다란 가쪽부분 혈관의 하나로서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속가슴동맥은 그 경과 중에 가로막신경과 나란히 달리는 심장가로막동맥(심막횡격동맥, Pericardiacophrenic art..

해부학 2025.02.27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3

3 - 혀동맥(설동맥, lingual artery) : 목뿔뼈 높이에서 시작하여 앞쪽으로 가서 혀에 분포한다. 끝부위는 혀밑면을 구불구불하게 분포하는 깊은혀동맥 (심설동맥, deep lingual artery)이 된다.4 - 얼굴동맥(안면동맥, facial artery) : 혀동맥 위쪽에서 시작하여 깨물근(교근) 앞에서 턱을 넘어 얼굴로 나와서 위/아래 입술동맥(superior/inferior labial arteries) 등으로 분지한 다음 눈구석동맥(안각동맥, angular artery)이 된다. 얼굴동맥은 표정 근의 운동에 적응하기 위해 구불구불하게 달리며 얼굴부분에 혈액을 공급한다. 눈구석동맥의 끝부분은 눈동맥에서 오는 콧등동맥(비배동맥, dorsal nasal artery)과 문합하고 있다.5 ..

해부학 2025.02.27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2

임상에서는 속목동맥(내경동맥)의 경과를 다음의 4부분으로 구분하고 있다.1 - 목부분(경부, Cerical Porton): 목빗근, 넓은목근에 덮여서 상행하는 부분.2 - 바위부분(목동맥관부분, Perous portion ; 경동맥관부, carotid canal porton) : 관자뼈 바위의 목동맥관 내의 부위로서, 상행 후 관내에서 앞쪽으로 굽힌다(굴곡).3- 해면굴부분(정맥동부, carvemous portion): 나비뼈 티어키안 양측에서 목동맥고랑(경동맥구, caroid groove)을 따라서 앞쪽으로 달리는 부분.4 -대뇌부분(대뇌부, cerebral Portion): 위쪽으로 경질막(경막)을 관통하여 뇌동맥으로 분기하는 부분.  속목동맥(내경동맥)은 그 시작 부위가 오히려 바깥목 동맥(외경동맥..

해부학 2025.02.27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1

동맥계(arterial system)온몸순환의 동맥은 모두 대동맥(aorta)에서 시작된다. 이는 왼심실에서 동맥혈을 신체 각 부위에 보내는 원줄기로서, 직경이 3cm이나 되는 큰 혈관이다. 먼저 왼심실에서 나와 대동맥활(aortic arch)로 이어가는 길이 5cm 정도의 혈관이 오름대동맥(상행대동맥, ascending aorta)이다. 그 시작 부위는 허파동맥 뒤쪽에 있지만 나사의 (+) 방향으로 비틀리듯이 올라가서 허파동맥 오른쪽 앞에 이르기까지의 부위를 가리킨다. 이어서 대동맥활이 되고 허파동맥 위쪽을 아치 모양으로 넘어가 서 제4등뼈 왼쪽에서 가슴대동맥(흉대동맥, thoracic aorta)이 된다.가슴대동맥은 척주 앞면을 따라 하행하여 가로막의 대동맥구멍(제12등뼈 높이)을 관통하여 배대동맥(..

해부학 2025.02.27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4

5) 혈관의 구조 혈관벽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자.일반적으로 어떤 부위를 나란히 달리는 동/정맥은 육안 또는 촉지에 의해 쉽게 구별이 된다. 동맥에서는 그 벽이 두껍고 견고하며, 혈관의 박동이 촉지된다. 정맥에서는 벽이 얇고 연약하다. 이 차이는 조직학적으로 한층 더 명확하다. 즉, 동/정맥은 모두 속막, 중간막, 바깥막의 3층으로 되어 있으나, 동맥에서는 특히 중간막의 민무늬근과 탄성섬유가 정맥에 비하여 훨씬 풍부하다. 이것은 동맥벽이 박동성의 혈류와 혈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순서대로(1) 속막(내막, inner coat)는 혈관 속면을 덮는 한 층의 단층편평상피(내피세포, endothelial cells)와 이것을 받치는 극히 얇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다. 모세혈관은 이 속막만으로 구성..

해부학 2025.02.26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3

3) 심장막(심막, Pericardium)심장은 그 외부가 심장막(심막, pericardium)이라고 하는 두 겹의 장막 주머니에 싸여 있다. 한 겹은 심장근육층의 전 표면을 덮는 얇고 강한 결합 조직성 막으로서 심장바깥막(심외막, epicardium)이라고 하며, 이것이 심장바닥에서 큰 혈관의 시작 부위를 싼 후 반전하여 심장막의 벽쪽판(parietal layer)이 된다. 벽쪽판을 보통 심장막이라고 한다.심장바깥막(심외막)과 벽쪽판 사이에는 심장막액(pericardial fluid)이 들어있는 심장막안(심막강, pericardial cavity)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심장은 심장바깥막으로 덮여 있고, 심장막이 만드는 심장막강 내부에 보호되어 있으며, 심장막액의 작용 때문에 주위 조직과 마찰이 줄어 ..

해부학 2025.02.26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2

2) 심장의 내강과 판막(Lumen and valves of heart)심장은 위쪽에 위치하는 심방(atrium)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심실(ventricle)로 구분된다. 그 사이에는 방실사이고랑(관상구, coronary groove)라고 하는 고리 모양의 도랑이 있고, 내부에는 (왼/오른)방실구멍(atrioventriovenricular valve)이 있다. 심방은 심방사이막(심방중격, interatrial septum)에 의해 외/오른쪽으로 구분된다. 심실사이막9심실중격, interventicular septum)의 아래부분은 대부분 두꺼운 근육부분(muscular part)으로 되어 있으나 위쪽의 일부는 얇은 막부분(membranous part)으로 된다. 이 심실사이막을 따라서 심장의 표면에는 앞..

해부학 2025.02.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