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7

wonu-1 2025. 3. 15. 21:43

이전 글 :

2025.03.05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6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6

이전 글 : 2025.03.05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이전 글 : 2025.02.27 - [해부학]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43) 가슴대동맥(

wonu-1.tistory.com

 

 

5) 온엉덩동맥(총장골동맥, Common iliac artery)

제4허리뼈몸통 앞의 배대동맥이 왼쪽과 오른쪽 아래로 갈라져 나온 약 5cm 길이의 굵은 혈관으로서, 다시 엉치엉덩관절 앞에서 속/바깥 엉덩동맥의 둘로 갈라진다. 속엉덩동맥은 골반에, 바깥엉덩동맥은 다리에 분포하는 주요 동맥이다.

 

(1) 속엉덩동맥(내장골동맥, Internal iliac artery)

이는 엉치엉덩관절 앞에서 온엉덩동맥으로부터 분지하여 작은 골반으로 들어가 골반 내 장기 / 외음부 / 골반벽 / 볼기에 분포하는데, 그 분지상태가 전신에서 가장 복잡하다. 속엉덩동맥은 내장 쪽 가지와 벽 쪽 가지로 구분되는데, 배대동맥의 경우와는 반대로 벽 쪽 가지가 내장 쪽 가지보다 크다.

 

1 - 내장 쪽 가지(장측지, visceral branches)

a. 중간곧창자동맥(중직장동맥, middle rectal artery) : 곧창자의 하반부에 분포한다.

b. 위/아래 방광동맥(vesical arteries) : 방광의 위/아래벽에 분포하도 남성은 정낭, 정관, 전립샘에 분포한다.

c. 자궁동맥(uterine artery) : 자궁목부에서 양측면에 도달한다. 

d. 질동맥(vaginal artery) : 자궁동맥에서 자궁벽으로 들어가서, 그 가쪽벽을 구불구불하게 달려 바닥으로 향한다. 자궁동맥이 구불한 것은 임신 시의 자궁확대에 대비한 것인데, 이는 임신 중에는 특히 커진다. 자궁동맥의 자궁관가지(난관지, tubal branch)는 난소동맥과 난관 벽을 통하여 연결하고 있다.

e. 배꼽동맥(제동맥, umbilical artery) : 태아에서는 속엉덩동맥의 연속으로, 방광의 가쪽을 상행하여 배꼽을 거쳐 태반(placenta)에 이른다. 출생 후에는 폐쇄되어 가쪽배꼽동맥인대(외측제동맥삭, lateral umbilical ligament)가 되어 방광 위쪽에 분포할 뿐이다.

 

2 - 벽 쪽 가지(벽측지, parietal branches)

a. 폐쇄동맥(obturator artery) : 폐쇄 구멍을 지나서 골반안 밖으로 나와서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분포한다.

b. 위/아래볼기동맥(상/하둔동맥, superior/ inferior gluteal artery) : 큰궁둥구멍의 궁둥구멍 위· 아래구멍에서 볼기부위로 나와서 볼기근육군에 분포한다.

c. 속음부동맥(내음부동맥, internal pudendal artery) : 특수한 경로를 지나는 것으로서, 일단 큰궁둥구멍(궁둥구멍근아래구멍)에서 골반안 밖으로 나오지만, 곧 작은궁둥구멍에서 골반안 내의 가쪽벽에 진입하여 샅 및 바깥 생식기에 복잡하게 분지를 내고 있다.

그 분지는 아래 나열된 것과 같다.

- 아래곧창자동맥(하직장동맥, inferior rectal artery) : 항문부위 및 곧창자아래부위에 분포하며, 위/중간창자동맥과 연결된다.

- 샅동맥(회음동맥, perineal artery) : 음낭가지 또는 음순가지를 분지한다.

- 음경 • 깊은음핵동맥(deep artery of penis) : 음경 또는 음핵해면체의 중심부를 달린다.

- 및 음경 • 음핵등동맥 (dorsal artery of penis) : 음경 또는 음핵의 등부를 따라 귀두로 향한다.

 

 

(2) 바깥엉덩동맥(외장골동맥, External iliac artery)

바깥 엉덩동맥은 온엉덩동맥에서 갈라져서 살고명인대 밑을 통과하여 넙다리동맥(대동맥, femoral atery)이 되어 넙다리 안쪽면에 나타나고, 이어서 넙다리의 여러 근육이 만드는 터널(내전근관)을 지나서 넙다리 뒤면 아래쪽에서 다리오금으로 나와서 오금동맥(슬와동맥, popliteal arery)이 된다. 그 경과 중에 바깥 엉덩동맥에서는 아래배벽동맥(하복벽동맥, inferior epigastric artery)이 나와서 배벽 뒤면을 상행하고 있으며 위배벽동맥과의 연결한다.

 

넙다리동맥의 가지 중에서 가장 큰 것은 깊은납다리동맥(심대퇴동맥, deep femoral atery)이다. 깊은넙다리동맥의 기부에서는 안쪽 / 가쪽 넙다리 휘돌이동맥(medial/lateral femoral circumflex aery)이 분지하고 깊은넙다리동맥의 종지는 보통 3개의 관통동맥(perioraling arteries)이 되어 넙다리 뒤면으로 향한다.

 

오금동맥(슬동맥, Popliteal artery)은 무릎관절(슬관절) 주변에 분지를 낸 후에 앞/뒤 정강동맥(전/후경골동맥, anterior/posterior tibial arteries)의 두 종지로 갈라지고 각각 종아리뼈사이막의 앞면과 뒤면을 하행하고 있다. 앞정강동맥(전경골동맥)의 말초는 발등동맥(족배동맥, dorsalis pedis artery)이 되어, 뒤정강동맥(후경골동역)의 말초는 정강뼈 안쪽복사(medial malleolus)의 뒤쪽 아래에서 발바닥으로 나와서 안쪽/가쪽 발바닥 동맥(내/외측족동맥, media/ lateral planter arteries)이 된다.

 

발의 동맥은 손의 동맥과 마찬가지로 발등과 발바닥에 동맥활을 형성한 후에 각 발가락에 2개의 등쪽 / 바닥쪽 발가락(dorsal / plantar digital ateries)을 분지하고 있다.

다리의 관절 주변부에도 팔과 마찬가지로 가쪽 부분 순환동맥그물(collateral arterial networt)이 구성되어 순환장애에 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