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혀동맥(설동맥, lingual artery) : 목뿔뼈 높이에서 시작하여 앞쪽으로 가서 혀에 분포한다. 끝부위는 혀밑면을 구불구불하게 분포하는 깊은혀동맥 (심설동맥, deep lingual artery)이 된다.
4 - 얼굴동맥(안면동맥, facial artery) : 혀동맥 위쪽에서 시작하여 깨물근(교근) 앞에서 턱을 넘어 얼굴로 나와서 위/아래 입술동맥(superior/inferior labial arteries) 등으로 분지한 다음 눈구석동맥(안각동맥, angular artery)이 된다. 얼굴동맥은 표정 근의 운동에 적응하기 위해 구불구불하게 달리며 얼굴부분에 혈액을 공급한다. 눈구석동맥의 끝부분은 눈동맥에서 오는 콧등동맥(비배동맥, dorsal nasal artery)과 문합하고 있다.
5 - 뒤통수동맥(후두동맥, occipital artery) : 얼굴동맥이 분지하는 높이에서 나와 관자뼈의 뒤통수동맥고랑(후두동맥구)을 따라가서 뒤통수에 널리 분포한다. 그 끝부위는 큰뒤통수신경(대후두신경, greater occipital nerve)과 나란히 달리고 있다.
6 - 뒤귓바퀴동맥(후이개동맥, posterior auricular artery) : 작은 동맥으로서, 관자뼈 붓돌기(경상돌 기) 하단의 높이에서 분지하여 귓바퀴가지(이개지)와 뒤통수가지(후두지)로 갈라지며, 귓바퀴 및 뒤통수 일부에 분포한다.
7 - 얕은관자동맥(천측두동맥, superficial temporal artery): 바깥목동맥의 종말지 중 하나이며, 귓바 퀴 바로 앞을 상행하여(이 부분에서 박동이 촉지된다.) 관자부위 전역, 귀밑샘, 마루부위 등에 분포 한다. 얕은관자동맥의 끝부위는 이마가지(전두지, frontal branch)와 마루가지(두정지, parietal branch)로 갈라진다.
8 - 위턱동맥(악동맥, maxillary artery): 얼굴의 깊은 곳, 코안• 위턱 • 아래턱 및 입천장 등에 분포한다. 그 가지인 중간뇌막동맥 (중경막동맥, middle meningeal artery)은 위턱동맥의 시작부위에서 분 지하여 머리뼈바닥의 뇌막동맥구멍(극공)으로부터 머리뼈 공간 안으로 들어가서 뇌경질막에 분포하는 것이며, 머리뼈 손상 시에 출혈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신경외과의 임상에서 중요하다. 치아에 분포하 는 위 • 아래이틀동맥(상• 하치조동맥, superior, inferior alveolar artery)은 위 ·아래턱뼈의 속을 따 라가서 각 치아뿌리로 향한다.
4 - 얼굴동맥(안면동맥, facial artery) : 혀동맥 위쪽에서 시작하여 깨물근(교근) 앞에서 턱을 넘어 얼굴로 나와서 위/아래 입술동맥(superior/inferior labial arteries) 등으로 분지한 다음 눈구석동맥(안각동맥, angular artery)이 된다. 얼굴동맥은 표정 근의 운동에 적응하기 위해 구불구불하게 달리며 얼굴부분에 혈액을 공급한다. 눈구석동맥의 끝부분은 눈동맥에서 오는 콧등동맥(비배동맥, dorsal nasal artery)과 문합하고 있다.
5 - 뒤통수동맥(후두동맥, occipital artery) : 얼굴동맥이 분지하는 높이에서 나와 관자뼈의 뒤통수동맥고랑(후두동맥구)을 따라가서 뒤통수에 널리 분포한다. 그 끝부위는 큰뒤통수신경(대후두신경, greater occipital nerve)과 나란히 달리고 있다.
6 - 뒤귓바퀴동맥(후이개동맥, posterior auricular artery) : 작은 동맥으로서, 관자뼈 붓돌기(경상돌 기) 하단의 높이에서 분지하여 귓바퀴가지(이개지)와 뒤통수가지(후두지)로 갈라지며, 귓바퀴 및 뒤통수 일부에 분포한다.
7 - 얕은관자동맥(천측두동맥, superficial temporal artery): 바깥목동맥의 종말지 중 하나이며, 귓바 퀴 바로 앞을 상행하여(이 부분에서 박동이 촉지된다.) 관자부위 전역, 귀밑샘, 마루부위 등에 분포 한다. 얕은관자동맥의 끝부위는 이마가지(전두지, frontal branch)와 마루가지(두정지, parietal branch)로 갈라진다.
8 - 위턱동맥(악동맥, maxillary artery): 얼굴의 깊은 곳, 코안• 위턱 • 아래턱 및 입천장 등에 분포한다. 그 가지인 중간뇌막동맥 (중경막동맥, middle meningeal artery)은 위턱동맥의 시작부위에서 분 지하여 머리뼈바닥의 뇌막동맥구멍(극공)으로부터 머리뼈 공간 안으로 들어가서 뇌경질막에 분포하는 것이며, 머리뼈 손상 시에 출혈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신경외과의 임상에서 중요하다. 치아에 분포하 는 위 • 아래이틀동맥(상• 하치조동맥, superior, inferior alveolar artery)은 위 ·아래턱뼈의 속을 따 라가서 각 치아뿌리로 향한다.
(6) 빗장밑동맥(쇄골하동맥, Subclavian artery)은 팔로 가는 혈관으로서 오른쪽은 팔머리동맥에서 분지하고, 왼쪽은 대동맥활의 제3지로서 왼쪽 / 오른쪽 모두 빗장뼈 와 제1갈비뼈 사이를 지나 겨드랑으로 가서 겨드랑동맥 (액와동맥, axillary artery)이 된다.
겨드랑동맥은 큰원근 혹은 큰가슴근 아래부위에서 위팔동맥(상동맥, brachial artery)이 되고, 정중신경과 위팔정맥과 같이 위팔두갈래근의 안쪽을 따라 내려가 팔오금에 이르며, 여기서 2대 종지인 자동맥(척골동맥, ulnar artery)과 노동맥(요골동맥, radial artery)으로 갈라져서 아래팔과 손가락에 분포한다. 손바닥에서는 자동맥과 노동맥이 다시 연결하여 얕은• 깊은손바닥 동맥활(천• 심장동맥궁, superficial, deep palmar arch)을 형성한다.
빗장밑동맥의 시작부위는 팔신경얼기의 앞가지(C5 ~T1)와 함께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를 지나서 팔로 향하고 있다. 이 부위에서 빗장밑정맥은 그 앞쪽을 달리고 있다. 따라서 목갈비근육부위에서는 팔로 향하는 혈관신경속은 앞쪽에서부터 차례로 V-A-N(정맥 Vein, 동맥 Artery, 신경 Nerve)의 순으로 달린다.
겨드랑동맥은 큰원근 혹은 큰가슴근 아래부위에서 위팔동맥(상동맥, brachial artery)이 되고, 정중신경과 위팔정맥과 같이 위팔두갈래근의 안쪽을 따라 내려가 팔오금에 이르며, 여기서 2대 종지인 자동맥(척골동맥, ulnar artery)과 노동맥(요골동맥, radial artery)으로 갈라져서 아래팔과 손가락에 분포한다. 손바닥에서는 자동맥과 노동맥이 다시 연결하여 얕은• 깊은손바닥 동맥활(천• 심장동맥궁, superficial, deep palmar arch)을 형성한다.
빗장밑동맥의 시작부위는 팔신경얼기의 앞가지(C5 ~T1)와 함께 앞목갈비근과 중간목갈비근 사이를 지나서 팔로 향하고 있다. 이 부위에서 빗장밑정맥은 그 앞쪽을 달리고 있다. 따라서 목갈비근육부위에서는 팔로 향하는 혈관신경속은 앞쪽에서부터 차례로 V-A-N(정맥 Vein, 동맥 Artery, 신경 Nerve)의 순으로 달린다.
1 - 빗장밑동맥(쇄골하동맥)의 분지: 오른쪽은 팔머리동맥, 왼쪽은 대동맥활에서부터 제2갈비뼈 바깥 쪽모서리까지의 부위이며, 제1갈비뼈 바깥쪽모서리에서 겨드랑동맥(액와동맥, axillary artery)으로 이어진다. 주로 팔에 분포하며, 뇌 • 수 • 목부 분 • 가슴부분에도 가지를 보낸다.
그 주요 분지는 다음과 같다.
a. 갑상목동맥(갑상경동맥, thyrocervical artery) : 이는 앞목갈비근 안쪽모서리 가까이에서 분지하는 짧고 굵은 것으로 곧 3~4개의 동맥으로 분지한다.
• 아래갑상동맥(하갑상선동맥, inferior thyroid artery) : 척추동맥 앞을 안위쪽으로 가서 인두· 식도• 기관 · 갑상샘 등에 분포한다.
• 어깨위동맥(견갑상동맥, Suprascapular artery) : 빗 자뼈의 뒤쪽을 바깥쪽으로 가서 어깨뼈 위모서리에 이르러 어깨뼈 뒤모서리에 있는 가시위근(극상근) • 가시아래근(극하근)에 분포한다.
•가로목동맥(경횡동맥, transverse cervical artery) : 목을 가로질러 뒤로 가서 어깨뼈 위각에 이르러 안쪽모서리를 따라 내려간다. 시작부위에 이상이 많은 동맥이며, 앞목갈비근 가쪽에서 시작한다.
• 아래갑상동맥(하갑상선동맥, inferior thyroid artery) : 척추동맥 앞을 안위쪽으로 가서 인두· 식도• 기관 · 갑상샘 등에 분포한다.
• 어깨위동맥(견갑상동맥, Suprascapular artery) : 빗 자뼈의 뒤쪽을 바깥쪽으로 가서 어깨뼈 위모서리에 이르러 어깨뼈 뒤모서리에 있는 가시위근(극상근) • 가시아래근(극하근)에 분포한다.
•가로목동맥(경횡동맥, transverse cervical artery) : 목을 가로질러 뒤로 가서 어깨뼈 위각에 이르러 안쪽모서리를 따라 내려간다. 시작부위에 이상이 많은 동맥이며, 앞목갈비근 가쪽에서 시작한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 (0) | 2025.03.05 |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4 (0) | 2025.02.27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2 (0) | 2025.02.27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1 (0) | 2025.02.27 |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4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