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혈관의 구조
혈관벽의 구조를 먼저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어떤 부위를 나란히 달리는 동/정맥은 육안 또는 촉지에 의해 쉽게 구별이 된다. 동맥에서는 그 벽이 두껍고 견고하며, 혈관의 박동이 촉지된다. 정맥에서는 벽이 얇고 연약하다. 이 차이는 조직학적으로 한층 더 명확하다. 즉, 동/정맥은 모두 속막, 중간막, 바깥막의 3층으로 되어 있으나, 동맥에서는 특히 중간막의 민무늬근과 탄성섬유가 정맥에 비하여 훨씬 풍부하다. 이것은 동맥벽이 박동성의 혈류와 혈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순서대로
(1) 속막(내막, inner coat)는 혈관 속면을 덮는 한 층의 단층편평상피(내피세포, endothelial cells)와 이것을 받치는 극히 얇은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다. 모세혈관은 이 속막만으로 구성되는 이른바 내피세포관이다. 혈액이 혀관속을 순환하는 동안 혈액성분과 전신의 조직 사이에 이루어지는 물질교환은 모두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서 이루어진다.
(2) 중간막(중막, intermediate coat)는 고리 모양으로 달리는 민무늬근육과 탄성섬유로 이루어지며, 혈관벽의 주체가 될 뿐만 아니라 가장 두꺼운 층이다. 정맥보다 동맥이, 훨씬 두껍고 굵은 동맥일수록 잘 발달되어 있다.
(3) 바깥막(외막, external coar)는 혈관의 가장 바깥층에 있는 결합조직층이다.
이상의 혈관벽, 특히 동맥벽의 특징은 혈관이 굵어질수록 탄성섬유가 많아지고 근육 성분이 비교적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오름대동맥의 벽 두께는 약 1.5cm이다.
6) 혈액의 순환
(1) 허파순환(폐순환, pulmonary or lesser circulation)
오른심실에서 나오는 1개의 허파동맥줄기(폐동맥간, pulmonary trunk)은 왼/오른 허파동맥(좌/우폐동맥, left/righr pulmonary artery)으로 갈라지고, 허파문(폐문)을 통해서 허파 내로 들어간다.
왼허파동맥보다 오른허파동맥이 더 길고 크며, 허파동맥은 오른심실에서 나오는 정맥혈을 허파까지 운반하여 가스교환을 하도록 하는 동맥이다. 동맥의 말초는 허파꽈리벽(폐포벽)에서 모세혈관그물이 되며, 정맥은 점차 많이 모여서 굵어지고, 결국에는 왼/오른 각 2개의 허파정맥(폐정맥, pulmonary veins)이 되어 허파문을 나와서 왼심방으로 들어간다.
오른허파정맥은 왼허파정맥보다 더 길며, 위대정맥(상대정맥)과 오름대동맥 뒤쪽을 지나 오른허파동맥의 밑을 거쳐 왼심방으로 들어간다. 왼허파정맥은 왼허파동맥의 밑, 가슴대동맥의 앞을 지나 왼심방으로 들어간다.
왼/오른허파동맥의 분기부와 그 바로 위쪽을 아치모양으로 달리는 대동맥활(대동맥궁) 사이에는 동맥관인대(동맥관삭, ligamentum arteriosus)라고 하는 결합조직의 끈이 걸쳐 있는데, 이것은 태생기에는 동맥관(ductus arteriosus ; Botallo's duct)으로서, 태아 허파동맥의 혈액을 허파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대동맥에 공급하고 있던 주요한 혈관의 흔적이다.
(2) 온몸순환(체순환, systemic or greater circulation)
심장으로부터 원심성(centrifugal)으로 뻗는 동맥계와 구심성(centripetal)으로 심장에 모이는 정맥계 그리고 심장의 심장동/정맥계가 온몸순환계에 속한다. 온몸순환을 일면 대순환이라고도 하며, 왼심실에서 나온 동맥혈을 몸의 말초로 보내 모세 혈관을 지나는 사이에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 및 기타의 노폐물을 받아 정맥혈이 된 혈액을 오른 심방에 보내는 순환로이다.
동맥의 주간은 대동맥(aorta)이며, 정맥의 주간은 위/아래대정맥(superior/inferir vena cava)과 심장정맥(coronary vein)이다.
(3) 문맥순환(portal circulation)
온몸순환로 중 정맥경로의 일부로서, 배안내장 여러기관(지라, 이자, 위, 작은창자 등)의 정맥이 하나의 문맥(portal cein)이 되어 간으로 들어가서 모세혈관그물을 만든 후 다시 모여서 아래대정맥으로 들어가는 순환로이다.
(4) 뇌순환(cerebral circulation)
온몸순환로에 속하지만, 동/정맥계는 각기 독립된 계통을 취한다. 동맥은 속목동맥(내경동맥, internal carotid artery)과 척추동맥(추골동맥, vertebral artery)의 두 계통으로 이루어지며, 정맥은 경질막정맥굴(경막정맥동, dural sinus)에 모여서 속목정맥(내경정맥, internal jugular vein)에 유입한다.
(5) 태반순환(placental circulation)
태아기의 순환로이며, 모체의 자궁동/정맥(uterine artery/vein)과 태아의 배꼽동/정맥(제동/정맥, umbilical artery/vein)이 태반(placenta)을 거쳐 순환한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2 (0) | 2025.02.27 |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1 (0) | 2025.02.27 |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3 (0) | 2025.02.26 |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2 (0) | 2025.02.26 |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1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