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5

wonu-1 2025. 3. 5. 18:08
이전 글 : 

3) 가슴대동맥(흉대동맥, Thoracic aorta)
제4등뼈 높이에서 시작하여 척주의 왼쪽을 따라 내려가서 제12등뼈 높이에 있는 가로막의 대동맥구멍에 이르는 큰 동맥이다. 주요 가지는 가슴벽을 양육하는 갈비사이동맥(늑간동맥, intercostal arteries)이며, 이는 가슴대동맥 좌우에서 제3~11갈비사이공간에 9쌍이 분포하고 있다. 맨 아래의 1쌍은 제12갈비뼈 밑에 분포 하는 갈비밑동맥(늑하동맥, subcostal arteries)이라고 하며, 맨 위 2쌍의 갈비사이동맥, 즉 제1,2 갈비사이에서는 빗장밑동맥의 분지인 맨위갈비사이동맥(최상늑간동맥, highest intercostal artey)이 분포한다.
가슴대동맥은 척주의 왼쪽 가까이 달리기 때문에 여기서 시작하는 갈비사이동맥 중에서 오른쪽의 것은 길고, 척주의 앞면을 가로지르게 된다. 이 갈비사이동맥은 같은 이름의 정맥 및 신경과 함께 척주 양측 가까이에서는 규칙적으로 갈비사이를 달리지만, 가슴우리 앞쪽에서는 갈비뼈 활의 주행에 일치하지 않고, 아래배부를 향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분절상으로 분포한다.
가슴대동맥에서 시작하여 가슴 안 내장을 향하는 가지로서, 가느다란 몇 개의 식도 동맥(esophageal arteries)과 2~3개의 왼/오른 기관지 동맥(left/right bronchial arteries)이 있다. 식도 동맥은 식도의 영양 동맥이고, 기관지동맥은 기관지의 벽을 따라서 허파 실질(pulmonary parenchyma)에 분포하는 허파의 영양 혈관이다. 또한 가슴대동맥이 가로막(횡격막, diaphragm)을 관통하기 직전에 위가로막동맥(상횡격동맥, superior phrenic artery)을 나와 가로막 위면에 분포한다. 그 외에 심장막(심막, pericardium)에 분포하는 심장막가지(심막지, pericardial branches)도 있다. 
 
 

4) 배대동맥(복대동맥, Abdominal aorta)

대동맥구멍(제12등뼈 위치)에서 시작하여 척주 앞을 제4허리뼈 높이까지 내려가서 왼/오른 온엉덩동맥 (좌/우 총장골동맥)으로 나누어지기까지가 배대동맥이다. 아래부위에서는 왼쪽 / 오른쪽의 굵은 온엉덩동맥(총장골동맥, common iliac artery)으로 갈라지고, 대동맥 자체의 줄기는 없어지며, 그 말단은 가느다란 정중엉치동맥(정중천골동맥, medial sacral artery)으로서 엉치뼈 앞면을 따라 꼬리뼈까지 이른다.

가슴대동맥과 마찬가지로 벽쪽가지로서 허리, 배벽으로 가는 가지와 내장쪽가지로서 배부내장으로 가는 가지가 나와 있다.

허리 혹은 배벽으로 가는 가지에는 가로막으로 가는 한 쌍의 아래가로막동맥(하격동맥, inferior phrenic artery)과 뒤 배벽에 분포하는 4쌍의 허리동맥(요동맥, lumbar arteries)이 있다.

배부내장으로 가는 가지는 배대동맥 위쪽부터 아래 쪽에 걸쳐서 복강동맥(celiac artery) 1개, 위창자간막동맥(상장간막동맥, superior mesentric artery) 1개, 중간 부신동맥(중부신동맥, middle suprarenal artery) 2개, 콩팥동맥(신동맥, renal artery)2개, 고환(난소)동맥, testicular(ovarian) artery) 2개, 아래창자간막동맥(하장간막동맥, inferior mesenteric artery) 1개의 순서로 분지한다.

 

순서대로 자세히 살펴본다면

(1) 배대동맥(복대동맥)의 내장쪽가지(장측지, Visceral branches)

 

1 - 복강동맥(celiac artery) : 대동맥구멍 바로 아래쪽에서 앞쪽으로 나오는 배대동맥의 최대의 가지지만, 그 길이는 1~2cm에 불과하여 짧고 굵은 동맥으로 곧바로 왼위동맥(좌위동맥, left gastic atery),  온간동맥(총간동맥, common hepalic artery), 지라동맥(비동맥, splenic artery)으로 분지한다.

 

온간동맥의 분지는 매우 많지만 일반적인 주요 가지가 다음과 같다.

  1. a. 위샘창자동맥(gastroduodenal antery) : 샘창자(십이지장)의 뒤쪽을 하행하고, 그 말초는 굵은 오른 위그물막동맥(우위대망동맥, right gastroepiploic atery)과 가느다란 위이자샘창자동맥(상췌십이지장동맥, Superior pancreaticoduodenal antery)이 된다. 오른위그물막동맥은 위큰굽이를 따라서 왼쪽으로 달리고, 지라동맥이 지라문부위(비문부)에서 분기하는 왼위그물막동맥과 연결된다. 위이자샘 창자동맥은 이자머리부와 샘창자에 분포한다.
  2.  
  3. b. 고유간동맥(proper hepatic artery) : 작은그물막의 오른쪽 끝으로부터 간문맥을 향해 상행하여 왼/오른간동맥(left/right hepatic artery)으로 나뉘어 간으로 들어간다. 오른간동맥(right hepaic artery)에서는 쓸개동맥(cystic artery)이 분지한다.

 

C. 오른위동맥(우위동맥, right gastric atery) : 온간동맥이 작은그물막으로 들어가기 전에 오른위동맥 이 분지하여 위의 날문에서 작은굽이를 거슬러 올라가 왼위동맥과 결합한다.

 

(2) 위창자간막동맥(상장간막동맥, Superior mesenteric artery) : 복강동맥 바로 아래에서 나오는 긴 동맥으로서, 창자간막 내를 달리며, 이자머리 샘창자 - 빈창자 - 돌창자 - 막창자 - 막창자꼬리 - 오름잘록창자 및 가로잘록창자의 중앙부까지 분포한다. 위창자간막동맥의 분포영역은 광대하며, 주요 가지는 다음 포스팅에 이어서 기재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