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에서는 속목동맥(내경동맥)의 경과를 다음의 4부분으로 구분하고 있다.
1 - 목부분(경부, Cerical Porton): 목빗근, 넓은목근에 덮여서 상행하는 부분.
2 - 바위부분(목동맥관부분, Perous portion ; 경동맥관부, carotid canal porton) : 관자뼈 바위의 목동맥관 내의 부위로서, 상행 후 관내에서 앞쪽으로 굽힌다(굴곡).
3- 해면굴부분(정맥동부, carvemous portion): 나비뼈 티어키안 양측에서 목동맥고랑(경동맥구, caroid groove)을 따라서 앞쪽으로 달리는 부분.
4 -대뇌부분(대뇌부, cerebral Portion): 위쪽으로 경질막(경막)을 관통하여 뇌동맥으로 분기하는 부분.
1 - 목부분(경부, Cerical Porton): 목빗근, 넓은목근에 덮여서 상행하는 부분.
2 - 바위부분(목동맥관부분, Perous portion ; 경동맥관부, carotid canal porton) : 관자뼈 바위의 목동맥관 내의 부위로서, 상행 후 관내에서 앞쪽으로 굽힌다(굴곡).
3- 해면굴부분(정맥동부, carvemous portion): 나비뼈 티어키안 양측에서 목동맥고랑(경동맥구, caroid groove)을 따라서 앞쪽으로 달리는 부분.
4 -대뇌부분(대뇌부, cerebral Portion): 위쪽으로 경질막(경막)을 관통하여 뇌동맥으로 분기하는 부분.
속목동맥(내경동맥)은 그 시작 부위가 오히려 바깥목 동맥(외경동맥)의 뒤바깥쪽에 있지만, 두개강 내에 들어가기까지는 분지가 없으며, 머리뼈 안에서 비로소 분지가 나와 있으므로 속목동맥이라고 한다. 바깥목동맥은 주로 머리 피부, 얼굴, 목부분 등에 분지가 나와 있으므로 바깥목동맥이라고 한다. 속목동맥의 분포구역은 주로 뇌(brain)에 있고, 일부는 눈(안와, orbit) 내에 서 눈알, 눈 근육 등으로 분포한다.
목동맥관을 통과하여 머리뼈 안으로 들어간 속목동맥은 터어키안 양측을 따라 앞쪽으로 달리고, 시신경관 바로 뒤쪽에서 눈동맥(안동맥, opthalic artery 분지하며, 그 연장은 중간대뇌동맥(middle cerbral artyery)이 된다. 눈동맥은 시각신경관을 지나서 눈확 내 로 들어가서 여러 개의 가지로 갈라져 눈알, 눈근육, 눈물샘 등에 분포한 다음 끝가지는 도르래위동맥(활차상동맥, supratrochlear artery) 및 눈확위동맥(안와상동맥, supraorbital artery)이 되어 이마 부분 피부에 분포한다.
목동맥관을 통과하여 머리뼈 안으로 들어간 속목동맥은 터어키안 양측을 따라 앞쪽으로 달리고, 시신경관 바로 뒤쪽에서 눈동맥(안동맥, opthalic artery 분지하며, 그 연장은 중간대뇌동맥(middle cerbral artyery)이 된다. 눈동맥은 시각신경관을 지나서 눈확 내 로 들어가서 여러 개의 가지로 갈라져 눈알, 눈근육, 눈물샘 등에 분포한 다음 끝가지는 도르래위동맥(활차상동맥, supratrochlear artery) 및 눈확위동맥(안와상동맥, supraorbital artery)이 되어 이마 부분 피부에 분포한다.
눈동맥을 분지한 후의 숙목동백은 급히 뒤쪽을 향해 뒤교통동맥(후교통동맥, posterior communicats artery), 앞맥락얼기동맥(anterior choroid plexus artery), 앞대뇌동맥(anterior cerebral artery)으로 분기 되고, 그 종지는 중간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이 된다. 앞 • 중간대뇌동맥은 앞쪽 2/3의 뇌에 분포하 는 중요한 혈관이다.
양측 앞대뇌동맥 사이는 앞교통동맥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또 속목동맥(혹은 중간대뇌동맥)은 뒤교통동맥(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에 의해 뒤대뇌동맥(posterior cerebral artery)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앞대뇌동맥, 속목동맥 및 뒤대뇌동맥 등의 3개 대뇌동맥(cerebral artery)이 뇌바닥에서 앞• 뒤교통동맥으로 서로 연결되어 뇌하수체가 들어있는 터어키안 주변을 에워싸는 대뇌동맥고리(대뇌동맥륜, cerebral arterial circle)를 구성한다. 이것은 뇌의 혈액 순환을 고르게 조절하는 데 기여하는 동맥의 연결고리로서, 뇌의 혈행로 장애에 대비한 측부로라고 할 수 있 다. 즉, 뇌는 산소결핍에 대해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는 장기이고, 뇌동맥가지들은 기능적인 끝동맥(end artery)이라고 볼 수 있어 이에 알맞게 구성된 동맥고리(동맥륜, arterial circe)이다.
속목경동맥계는 이와 같이 끝뇌(종뇌, telencephalon) 앞부분의 대부분을, 척추동맥은 끝뇌의 일부 척수• 뇌 줄기 • 소뇌에 영양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앞대뇌동맥, 속목동맥 및 뒤대뇌동맥 등의 3개 대뇌동맥(cerebral artery)이 뇌바닥에서 앞• 뒤교통동맥으로 서로 연결되어 뇌하수체가 들어있는 터어키안 주변을 에워싸는 대뇌동맥고리(대뇌동맥륜, cerebral arterial circle)를 구성한다. 이것은 뇌의 혈액 순환을 고르게 조절하는 데 기여하는 동맥의 연결고리로서, 뇌의 혈행로 장애에 대비한 측부로라고 할 수 있 다. 즉, 뇌는 산소결핍에 대해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는 장기이고, 뇌동맥가지들은 기능적인 끝동맥(end artery)이라고 볼 수 있어 이에 알맞게 구성된 동맥고리(동맥륜, arterial circe)이다.
속목경동맥계는 이와 같이 끝뇌(종뇌, telencephalon) 앞부분의 대부분을, 척추동맥은 끝뇌의 일부 척수• 뇌 줄기 • 소뇌에 영양을 공급한다.
(5) 바깥목동맥(외경동맥, External caroid artery)
속목동맥과 갈라져서 아래턱뼈가지(ramus)의 안쪽을 상행하여 턱관절 근처에서 2개의 종말지, 즉 얼굴의 깊은층으로 향하는 위턱동맥(악동맥, maxllary artery)과 관자부의 얕은쪽을 향하는 얕은관자동맥(천측두동맥, superficial remporal antey)으로 갈라진다. 그 경과 중에 아래와 같은 분지가 나와 전체적으로는 머리뼈 바깥, 즉 머리피부와 얼굴 • 치아 • 뇌경질막 및 목부분에 분포한다.
머리뼈 안쪽에 유일한 분포구역을 갖는 분지는 위턱 동맥에서 나오는 중간뇌막동맥(중경막동맥, middle meningeal artery)인데 머리뼈바닥의 뇌막동맥구멍으로부터 머리뼈 안으로 들어가서 뇌경질막에 분포한다.
바깥목동맥(외전동맥, external carotid artery)은 중요한 8개 분지로 나뉘어지며, 그 종류와 각 분지의 주요 소견은 다음과 같다.
1 - 위갑상동맥(상갑상선동맥, superior thyroid artery) : 바깥목동맥 이는곳 근처(목뿔뼈의 큰뿔 바로 아래쪽)에서 분지하여 위쪽에서부터 갑상샘과 후두의 위쪽에 분포한다. 아래갑상동맥은 아래쪽에서부터 분포한다.
2 - 오름인두동맥 (상행인두동맥, ascending Pharyngeal artery ): 바깥목동맥 이는곳 가까이에서 분지하는 가느다란 오름가지로서, 목부분 깊은 층을 달려서 인두근육•물렁입천장• 목구멍편도 에 분포한다.
1 - 위갑상동맥(상갑상선동맥, superior thyroid artery) : 바깥목동맥 이는곳 근처(목뿔뼈의 큰뿔 바로 아래쪽)에서 분지하여 위쪽에서부터 갑상샘과 후두의 위쪽에 분포한다. 아래갑상동맥은 아래쪽에서부터 분포한다.
2 - 오름인두동맥 (상행인두동맥, ascending Pharyngeal artery ): 바깥목동맥 이는곳 가까이에서 분지하는 가느다란 오름가지로서, 목부분 깊은 층을 달려서 인두근육•물렁입천장• 목구멍편도 에 분포한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4 (0) | 2025.02.27 |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3 (0) | 2025.02.27 |
순환계통 분류 - 동맥계 (Arterial system) 1 (0) | 2025.02.27 |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4 (0) | 2025.02.26 |
순환계통 분류 - 심장 (Heart) 3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