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각 척추뼈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로 목뼈(경추, cervical vertebrae) 7개의 가장 작은 척주뼈로 구성된다. 척추뼈몸통(추체)은 타원형이며, 척추구멍(추공)은 비교적 크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삼각형이다. 가로돌기구멍(횡돌공, transverse foramen)이 있어 뇌의 영양 혈관인 척추뼈동/정맥(추골동/정맥, vertebral artery/vein)이 통과한다. 제2목뼈에서부터 제6목뼈의 가시돌기(극돌기)는 두 갈래(bifid)로 되어있다. 제1목뼈는 척추뼈몸통이 없고, 전체 모양이 둥근 형태이기 때문에 고리뼈(환추, atlas)라고 한다. 전체적인 형태는 양쪽 가쪽덩이(외측괴, lateral mass)와 이것을 연결하는 앞/뒤고리(전/후궁, anterior/posterior arch)로 구성된다. 가쪽과 위모서리에 있는 타원형의 위관절오목(상관절와)은 뒤통수뼈(뒤통수뼈관절돌기(후두과))와 접촉하여 고리뒤통수관절(환추후두관절, atlantooccipital joint ; Yes joint)을 만들다. 앞면의 아래관절오목(하관절와)은 원형이며, 제 2목뼈와 가쪽고리 중쇠관절(외측환축관절, lateral atlantoaxial joint)을 만든다.
계뼈통대계뼈통계
제 2목뼈는 척추뼈몸통 위면에 치아돌기(치돌기, dens)라고 하는 돌기를 가지고 있다. 치아돌기는 제 1목뼈의 척추뼈몸돌리 제 2목뿔몸통에 유합된 것이다. 치아돌기는 고리뼈(환추)의 앞고리(전궁)가 만드는 홈에서 고리중쇠관절(환축관절, atlantoaxxial joint : No joint)을 만들어 머리를 회전시키는 기초가 된다. 즉, 머리뼈는 고리뼈와 결합한 상태에서 치아돌기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제 2목뼈는 중쇠뼈(축추, axis)라고 한다. 제 7목뼈의 가시돌기(극돌기)는 다른 목뼈에 비해 현저하게 길어서 피부에서도 촉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7목뼈를 솟을뼈(융추, vertebra prominerns)라고 한다. 솟을뼈는 방사선해부학 등에서 척추뼈의 높이를 측정하는 기준으로서 임상적으로 이용한다.
둘째로 알아볼것은 등뼈이다. 등뼈(흉추, thoracic vetebrae)는 12개로 구성되며, 가장 기본적 형태를 하고 있는 척추뼈로 척추뼈몸통은 심장 모양이고 척추뼈구멍(추공)은 비교적 원형이며, 매우 길며 아래로 향하는 가시돌기를 갖는다. 12쌍의 갈비뼈(늑골, ribs)과 관절하기 위해서 각 척추뼈몸통의 뒤방향 양쪽에 위/아래갈비뼈오목(상/하늑골와, superior/inferior costal facet)이 있으며, 또한 가로돌기(횡돌기) 꼭대기 부위에도 얕은 홈, 가로갈비뼈오목(횡돌늑골와, transverse costal facet)을 가지고 있다. 척추뼈 몸통의 갈비뼈오목은 갈비뼈의 갈비뼈머기(늑골두)와 관절하고 가로돌기의 가로돌기갈비뼈오목(횡돌늑골와)은 갈비뼈의 갈비뼈결절부위와 관절한다. 갈비뼈오목(늑골와)은 모든 등뼈에 다 있으나 가로돌기갈비뼈오목은 제 11/12 등뼈에는 없기 때문에 다른 등뼈와 달리 갈비뼈와 한 번만 관절한다.
셋째, 허리뼈(요추, lumbar vertebrae)는 5개로 구성되며, 엉치뼈(천골)를 제외하고 척추뼈들 중 가장 크고 무겁다. 콩팥 모양의 척추골 몸통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더 커지며 체중의 대부분을 지지해 준다. 추뼈구멍(추공)은 삼각형이며, 짧고 끝이 뭉툭한 가시돌기와 안쪽으로 뻗은 위관절돌기(상관절돌기) 및 가쪽으로 뻗는 아래관절돌기(하관절돌기)가 있다.
계뼈통대계뼈통계
넷째, 엉치뼈(천골, sacrum)은 성인에서는 5개의 엉치천추뼈(천추, sacral vertebrae)가 유합하여 1개의 엉치뼈(천골, sacrum)를 이룬다. 앞면에는 각 척추뼈의 유합을 나타내는 4개의 가로선(횡선, transverse line)이 보인다. 면에는 각 돌기가 유합되어 능선을 이루고 있다. 정중엉치뼈능선(정중천골능, middle sacral crest)이 가장 현저한데, 이것은 가시돌기가 연결된 것이고 그 아래끝은 엉치뼈틈새구멍(천골열공, sacral hiatus)으로 끈이 나 있다. 4의 앞엉치뼈구면(정천골공, ventral sacral foramen)은 척추뼈사이공간에 해당하는 것이며, 척주관의 끝부분에 해당하는 어치뼈관(천골관, sacral canal)과 교통하고 있다. 엉치뼈의 위끝은 엉치뼈바닥(천골저, sacral base)이 허리뼈와 관절하고, 아래끝의 엉치뼈끝(천골첨, apex)은 꼬리뼈(미골)와 관절한다. 엉치뼈바닥(천골저)의 앞면에는 앞으로 돌출해 있는 엉치뼈곶(갑각, promontory)이 있는데 이는 골반 계측점으로 중요하다. 엉치뼈 가쪽부위에는 귀 모양을 한 커다란 관절면인 귓바퀴면(이사면, auricular surface)이 있어 볼기뼈(관골, hip bone)의 귓바퀴면과 엉치엉덩관절(천장골관절, sacroiliac joint)을 형성한다.
계뼈통대계뼈통계 다섯째, 꼬리뼈(미골, coccyx)는 개인차가 있지만 평균 3~5개의 작은 꼬리척추뼈(미추, coccygeal vertebrae)가 하나로 유합된 것이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1 (0) | 2025.02.17 |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가슴우리(흉곽, Thorax) (0) | 2025.02.17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척주(Vertebral column) 1 (0) | 2025.02.17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5 (0) | 2025.02.09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4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