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
2025.02.09 - [해부학]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4
머리뼈의 주요 통로로는 후각신경구멍에는 후각신경이, 시각신경관에는 시각신경과 눈동맥이, 위눈확틈새는 눈돌림신경, 도르래신경, 갓돌림신경, 눈신경, 눈정맥이 통과한다. 원형구멍은 삼차신경의 위턱가지, 타원구멍은 삼차신경의 아래턱가지, 뇌막동맥구멍은 중간경질막혈관이 통과한다.계뼈통대계뼈통계 눈확(안와, orbit)은 눈알(안구), 눈알근육(안근) 등 시각기를 수용하는 커다란 한 쌍의 웅덩이다. 눈확은 7개의 뼈로 구성된다. 눈확의 지붕은 이마뼈(전두골)와 나비뼈(접형골), 눈확의 가쪽벽은 광대뼈(관골)와 나비뼈, 눈확의 바닥은 위턱뼈, 광대뼈, 입청장뼈(구개골), 눈확의 안쪽벽은 위턱뼈, 눈물뼈, 벌집뼈(사골)와 나비뼈로 형성된다. 안쪽에 시각신경관(optic canal)과 위/아래눈확틈새(상/하안와열, superior/inferior orbital fissure)가 뚫려 있다. 시각신경관과 위눈확틈새(상안와열)는 머리뼈안과 교통하고 아래눈확틈새(하안와열)는 관자아래우묵(츶두하와)에서 날개입천장오목(익구개와)으로 교통한다. 눈확위모서리의 눈확위구멍(안와상공, supraorbital foramen)은 눈확위신경(안와상신경)의 가쪽가지, 눈확위동/정맥의 통로가 된다. 눈확의 안쪽벽에서는 눈물뼈(누골)와 위턱뼈(상악골)가 눈물주머니(누낭)를 수용하는 눈물오목(누낭와, lacrimal fossa)을 만들고, 그 아래 방향은 코눈물관(비루관, nasolacrimal canal)과 교통하고 있다. 코눈물관의 아래쪽은 아래콧길(하비도)에 개구한다. 계뼈통대계뼈통계 코안(비강, nasal cavity)의 입구는 왼/오른벌집뼈, 위턱뼈와 코뼈(비골)가 둘러싸고 있으며, 서양배 모양을 하고 있고 앞콧구멍(이상구, antrior nasal aperture)이라고 한다. 그 양 옆에 코연골(비연골, carilages of nose)이 이어진다. 코중격(비중격, nasal septum)의 기초도 뼈이며 위쪽 부분은 벌집뼈(사골)의 수직판, 아래쪽부분은 보습뼈(서골)이며, 여기에 코사이막연골(비중격연골, cartilage of nasal septum)이 부가되어 완전한 것이 된다. 코사이막은 다소 왼쪽 또는 오른족으로 굽어 있거나 치우쳐 있지만, 현저할때는 코사이막굽음증(비중격만곡증, deviation of the nasal septum)이 된다. 코안의 아래방향도 코사이막에 의해 양쪽으로 나뉘어지며 뒤콧구멍(후비공, posterior nasal aperture)이라 한다. 뒤콧구멍의 주위는 입천장뼈(구개골)와 나비뼈(접형골)의 날개돌기(익상돌기)로 구성된다. 코안의 윗면은 벌집뼈(사골)의 벌집체판(사판), 아래면은 대부분 위턱뼈(상악골)이고, 뒤 방향 일부가 입천장뼈(구개골)이다. 코안의 가쪽벽은 가장 복잡하며, 위/중간/아래코선반뼈(상/중/하비갑개, superior/middle/inferior nasal meatus)가 안쪽 방향으로 나누고 있다. 위/중간코선반뼈는 벌집뼈(사골)에 속하며, 아래코선반뼈는 얼굴뼈(안면골)에 속한다. 코곁굴(부비동, paranasal sinuses)을 알아보자. 코안(비강)을 둘러싸고 있는 머리뼈(두개골) 일부는 공기를 함유한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코안과 교통하고 있는데 이를 코곁굴(부비동, paranasal sinus)이라고 한다. 인체의 코셭굴로는 이마굴(전두동, frontal sinus), 벌집굴(사골동, ethmoidal sinus), 나비굴(접형동, sphenoidal sinus) 그리고 위턱굴(상악동, maxillay sinus)이 있다. 코곁굴은 머리뼈의 무게를 가볍게 하고 공명을 증가시킨다. 코곁굴 속면의 점액은 코안으로 배출되고, 특히 코곁굴 점막에 염증에 의하여 농이 생기는 병을 곁굴염(부비동염, sinusitis)이라고 한다. 계뼈통대계뼈통계 관자아래우묵(측두하와, infratemporal fossa)의 입안쪽에 있는 깊고 좁은 도랑이 날개입천장오목(익구개와, pterygopalatine fossa)이다. 앞벽은 위턱뼈(상악골), 뒤벽은 나비뼈(접형골), 날개돌기(익상돌기), 안쪽벽은 입천장뼈(구개골)로 이루어진다. 이 부위의 전체 또는 입체구조는 머리뼈(두개골) 중에서 가장 관찰하기가 어렵지만, 위턱신경(상악신경)의 분기장소인 동시에 자율신경인 날개입천장신경(익구개신경절, pterygopalatine)이 있는 부위이므로, 신경학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날개입천장오목에는 여러 구멍이 교통한다. 즉, 위 방향이 원형구멍(정원공, foramen rotundum)에 의하여 머리뼈안과 교통하며, 앞방향에 아래눈확틈새(하안와열, inferiororbital fissure)로 눈확과 연결되고, 아래 방향의 대구개관(greater palatine canal)으로 입안(구강)과 교통하며, 뒤방향에 날개관(익돌관, pterygoid canal)으로 머리뼈바닥에 그리고 안쪽에 나비입천장구멍(접구개공, sphenxopalatine foramen)으로 코안과 교통한다. 계뼈통대계뼈통계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척주(Vertebral column) 2 (0) | 2025.02.17 |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척주(Vertebral column) 1 (0) | 2025.02.17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4 (0) | 2025.02.09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3 (0) | 2025.02.07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2 (1)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