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2

wonu-1 2025. 2. 4. 12:56

2025.02.03 - [해부학]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1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1

2025.02.03 - [해부학] - 계뼈통대계뼈통계 (Skeletal System) 서론 계뼈통대계뼈통계 (Skeletal System) 서론뼈대계통에는 뼈(골, bone), 연골(cartilage), 관절(joint or articulation), 및 인대(ligament)가 포함된다. 성인

wonu-1.tistory.com

 

네번째로는 뒤통수뼈(후두골, occipital bone)은 머리뼈의 뒤쪽과 머리뼈바닥(두개저)을 형성한다. 뒤통수 부위를 형성하는 편평한 부위를 뒤통수뼈비늘(후두린, squamous part)이라고 하며, 옆면 중앙부에는 두피 표면에서 촉지되는 바깥뒤통수뼈융기9외후두융기,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라는 돌출부가 있다. 이 융기에 상응하는 속면에는 속뒤통수뼈융기(내후두융기, internal occipital protuberance)와 이것을 중심으로 한 십자융기(cruciform eminence)가 있다. 이 위로는 시상정맥굴고랑(시상동구, groove for sagittal sinus), 왼/오른쪽으로는 가로정맥굴고랑(횡동구, groove for transverse sinus)이 있다. 가로정맥굴고랑은 길게 연장되어 관자뼈의 뒤쪽 아래 모서리를 S자상으로 돌아나오는 상태로 되어 있는데, 이곳을 구불정맥굴고랑(S상동구, groove for sigmoid sinus)라고 하며, 그 끝은 목정맥고랑(경정맥공)으로 나간다. 뒤통수뼈(후두골)의 머리뼈바닥 부위에는 큰구멍(대공, foramen magnum)이 있는데, 이곳은 뇌와 척수의 교통부위가 된다. 큰구멍 양쪽에는 아래방향으로 돌출한 장경 2cm정도의 타원형의 뒤통수뼈관절융기(후두과, occipital condyle)가 있으며, 이것은 첫째목뼈(환추, atlas)와 관절하여 고리뼈뒤통수관절(환추후두관절, atlanto-occipital joints)을 형성한다. 뒤통수뼈관절융기(후두과)의 뒤쪽에 붙어있는 홈을 관절융기오목(과와, condylar fossa)이라고 하며, 바닥에 있는 관절융기관(과관, condylar canal)은 이끌정맥의 통로가 된다. 뒤통수뼈관절융기 기저부에는 혀밑신경(hypoglossal nerve)이 지나가는 혀밑신경관(hypoglossal canal)이 있다. 뒤통수뼈 바닥의 앞쪽은 나비뼈몸통과 결합된다. 이 결합부의 위면은 미끄럼틀 모양으로 되어 있어 비스듬틀(사대, clivus)이라고 하며 이는 다리뇌(교뇌)와 숨뇌(연수)가 위치하는 중요한 장소이다. 계뼈통대계뼈통계 다섯째로 나비뼈(접형골, sphenoid bone)은 머리뼈바닥 중앙에 위치하며, 나비가 날개를 펼친 모양을 하고 있다. 앞면은 이마뼈, 옆면은 관자뼈, 뒷면은 뒤통수뼈와 결합하여 중간머리뼈우묵(중두개와, middle cranial fossa)을 형성하며, 코안과 눈확의 일부를 형성한다. 중심부에 해당하는 나비뼈 몸통의 등면에는 안장모양의 홈이 있으며 이를 안장(터어키안, sella turcica)라고 하며, 그 오목한 곳에 뇌하수체(pituitary gland)가 들어가므로 뇌하수체오목(하수체와, hypophysial fossa)라고 한다. 나비뼈 몸통의 내부에는 한 쌍의 커다란 공기공간인 나비굴(접형골동, sphenoidal sinus)이 있으며 이는 코안(비강)과 교통하고 있다. 큰날개(대익, greater wings) 부분은 나비뼈몸통의 양쪽에 날개처럼 뻗은 부분으로 중간머리뼈우묵의 바닥을 이루고 눈확의 바깥쪽벽을 형성한다. 작은 날개(소익, lesser wings)는 나비뼈몸통 앞쪽으로 있는 작은 날개 모양의 부분으로 이마뼈와 관절하여 앞머리뼈우묵(전두개와, anteroir cranial fossa)뒤쪽 부분을 형성하며 눈확의 뒷면을 이룬다. 계뼈통대계뼈통계 안장(터어키안) 앞쪽을 시각신경교차고랑(sulcus for optic chiasm)이 가로지르고 그 양쪽 끝은 시각신경구멍(시신경공, optic foramen)이 있어 시각 신경(optic nerve)과 눈동맥(안동맥, ophthalmic artery)이 통과한다. 큰날개 앞모서리와 작은 날개 뒤모서리 사이에 형성된 길다란 공간은 위눈확틈새(상안와열, superior orbital fissure)라고 하며, 눈확으로 가는 혈관과 신경의 통로이다. 나비뼈몸통 큰 날개의 바닥에는 원형구멍(정원공, foramen rotundum), 타원구멍(난원공, foramen ovale)및 뇌막동맥구멍(극공, foramen spinosum)이 한 줄로 비스듬하게 배연되어 있으며, 중요한 혈관과 신경의 통로가 된다. 각 원형구명(정원공)은 삼차신경의 위턱가지(maxillary branch)가 통과하며, 타원구멍(난원공)은 삼차신경의 아래턱가지(mandibular branch)가 통과한다. 뇌동맥구멍(극공)으로는 중뇌막혈관(middle meningeal blood vessels)이 통과한다. 나비뼈몸통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내린 한 쌍의 날개돌기(익상돌기, pterygoid process)는 위턱뼈와 입천장뼈와 결합되며, 코안과 입안의 가장 깊은 부위에 있따. 날개돌기에는 안쪽판과 가쪽판이 있는데, 각각 뒷콩구멍(후비공)의 바깥쪽벽을, 안쪽/가쪽날개근을 이는 곳이 된다. 계뼈통대계뼈통계 여섯째로 벌집뼈(사골, ethmoid bone)는 나비뼈와 코뼈 사이에 위치하며 앞머리뼈(전두개)와 눈확(안와)의 안쪽벽, 코사이막(비중격)의 상부, 코안의 위 바깥쪽벽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뼈이다. 가쪽던이(외측괴, laternal mass)는 양쪽 아래방향으로 돌출되어 벌집뼈의 대부분을 이루는 부위로 속에 벌집 모양의 벌집(사골붕소, ethmoidal air cell)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벌집굴(사골동, ethmoidal sinuses)을 형성한다. 

이어서 다음 포스팅이 있습니다.

2025.02.07 - [해부학]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3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3

이전 글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2얼굴머리뼈(안면골, facial bones)는 코뼈, 위턱뼈, 광대뼈, 아래턱뼈, 눈물뼈, 입청장뼈, 아래코선반, 보습뼈, 목뿔뼈로 구성된다. 순서대로 코뼈(

wonu-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