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3 - [해부학] - 계뼈통대계뼈통계 (Skeletal System) 서론
계뼈통대계뼈통계 (Skeletal System) 서론
뼈대계통에는 뼈(골, bone), 연골(cartilage), 관절(joint or articulation), 및 인대(ligament)가 포함된다. 성인의 뼈는 모두 206개이며, 뼈들은 주로 관절에 의해 연결되고, 체격을 만들며, 골격근육(skeletal musc
wonu-1.tistory.com
머리뼈(두개골) 는 목뿔뼈(설골)를 포함하여 15종 23개의 뼈가 결합된 것이며, 그 연결은 유일한 관절인 턱관절(악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을 제외하고는 모두 봉합(suture)에 의한 것이다. 목뿔뼈(설골)만은 다른 뼈와 분리되어 근육과 인대로 지지된 상태에서 설근부에 위치한다. 머리뼈(두개골)는 위쪽에서 머리뼈안(두개강, cranial cavity)을 형성하고 뇌를 보호하는 뇌머리뼈(뇌두개골, cranial bones)와 얼굴뼈(안면골, facial bones)로 구분하며, 얼굴뼈는 아래쪽에서 눈확(안와), 코안(비강), 입안(구강) 등의 기초가 된다.
뇌머리뼈는 첫째, 이마뼈(전두골, frontal bone)는 머리뼈의 앞부분을 형성하는 납작뼈로 이마, 앞머리뼈우묵(전두개와, anterior cranial fossa)의 대부분 그리고 눈확(안와, orbits)의 천장을 구성하며 뇌의 이마엽이 위치한다. 이마뼈는 태생기에는 한 쌍이 만들어지고 이마봉합(metopic suture)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출생 후 1~2년이 지나면 이 봉합선은 소실되고 완전히 하나의 뼈가 된다. 양쪽 이마뼈(전두골)의 뼈되기점은 이마결절(frontal tuberosity)로 돌출되어 있다. 눈확 위모서리에는 이마로 가는 위눈확동맥(상안와동맥)과 위눈확신경의 통로가 되는 눈확위구멍(supraorbital foramen) 혹은 눈확위패임(supraorbital notch)이 있다. 눈확 사이에 있는 이마뼈의 매끄러운 부분을 미간(glabella)이라 하며, 한 쌍의 이마굴(전두동, frontal sinus)이 있어 코안(비강)과 교통하고 있다. 이마뼈의 이마뼈비늘(전두린, frontal squama) 부분은 마루뼈(두정골)와 결합하여 관상봉합(coronal suture)을 형성한다.
둘째, 마루뼈(두정골, Parietal bone)은 머리뼈의 위면과 옆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편평사변형의 뼈이다. 오른/왼 마루뼈 사이와 다른 머리뼈(두개골)와 관절을 이루어 4개의 큰 봉합을 형성한다. 먼저 시상봉합(sagittal suture)은 오른/왼 마루뼈가 머리뼈 중앙에서 서로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다. 관상봉합(coronal suture)은 마루뼈와 이마뼈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다. 시옷봉합(인자봉합, lambdoidal suture)은 마루뼈와 뒤통수뼈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다. 비늘봉합(인상봉합, squamosal suture)은 마루뼈와 관자뼈(측두골)가 만나는 부위에 형성된다. 마루뼈의 바깥면은 대체로 매끈하고 볼록한 모양이나 중앙 부근에는 뼈되기점을 나타내는 마루융기(두정융기, parietal eminence)가 있으며, 한 쌍의 마루뼈구멍(두정공, parietal foramen)은 머리뼈안 내/외의 정맥의 통로로서 중요하다. 안쪽 면에는 동맥고랑(동맥구, groove for arteris)이 뚜렷하게 관찰되며, 시상봉합을 따라 위시상정맥굴고랑(상시상동구, groove for superior sagittal sinus)이 달리고 있다.
셋째, 관자뼈(측두골, temporal bone)는 머리뼈의 아래쪽면(inferior lateral aspects)과 머리뼈바닥(cranial floor)의 일부를 형성하는 뼈이며, 다소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다. 위쪽의 편평한 부분인 비늘부분(인부, squamous portion)는 마루뼈 및 나비뼈(접형골)와 관절한다. 비늘 부분의 가쪽아래에는 광대돌기(권골돌기, zygomatic process)가 수평으로 뻗어 나와 광대뼈의 관자돌기오목(권골궁, zygomatic arch)을 형성하고, 관골돌기 바로 아래에 있는 아래턱오목(mandibular fossa)은 아래턱뼈와 턱관절(악관절, tempotomandibular joint)을 이룬다. 바깥귀길(외이도, external auditory meatus)뒤아래쪽의 꼭지부위(mastoid portion)에는 돌출된 부분인 꼭지돌기(유양돌기, mastoid process)가 있으며 그 속에는 벌집 모양의 꼭지벌집(유돌봉소, mastoid air cells)이 있고, 이는 중이과 교통되어 있기 때문에 중이염이 꼭지돌기염으로 전이 될 수 있다. 꼭지돌기의 바닥 부분 안쪽에는 머리뼈바닥으로 붓꼭지구명(경유돌공, stylomastoid foramen)이라는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 구멍으로 얼굴신경과 붓꼭지동맥이 통과한다. 붓꼭지구멍 바로 앞에 길고 가느다란 붓돌기(경상돌기, styloid process)가 아래로 뻗어 있으며 인대와 근육이 이 돌기에 부착한다. 관자뼈(측두골)의 바위부분(암양부, petrous portion)은 뒤통수뼈와 나비뼈 사이에 위치하면서 머리뼈안의 바닥을 형성한다. 바위부분은 청각과 평형감각에 관여하는 가운데귀(중이)와 속귀(내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목동맥(경동맥, carotid artery)이 통과하는 목동맥구멍(경동맥공, carotid foramen)과 목정맥(경정맥, jugular vein)이 통과하는 목정맥구멍(경정맥공, jugular foramen)이 있다.
이어서 다음 포스팅에 내용이 더 있습니다.
2025.02.04 - [해부학]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2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2
이전 글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1네번째로는 뒤통수뼈(후두골, occipital bone)은 머리뼈의 뒤쪽과 머리뼈바닥(두개저)을 형성한다. 뒤통수 부위를 형성하는 편평한 부위를 뒤통수
wonu-1.tistory.com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5 (0) | 2025.02.09 |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4 (0) | 2025.02.09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3 (0) | 2025.02.07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머리뼈 (Skull) 2 (1) | 2025.02.04 |
뼈대계통 (Skeletal System) 서론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