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
2025.02.19 - [해부학]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3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3
이전 글 :2025.02.17 - [해부학]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2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2자뼈(척골, ulnar)는 아래팔 안쪽
wonu-1.tistory.com
볼기뼈의 안쪽면
거의 중앙부를 비스듬하게 달리는 활꼴선(궁상선, arcuate line)에 의해 위쪽 부분과 아래 부분으로 구분된다. 위쪽 부분은 엉덩뼈날개(장골익, ala of ilium)로서, 전체적으로 얕게 파여 있어 엉덩뼈오목(장골와, iliac fossa)이라고 하며, 큰골반(대골반)의 양쪽벽을 이룬다. 활꼴선 아래부분은 작은골반(소골반)의 옆벽을 이룬다. 활꼴선의 앞안쪽끝은 융기되어 두덩뼈결절(치골결절, pubic tubercle)로 되어 있다. 활꼴선 뒤위쪽에 있는 귓바퀴면(이상면, auricular surface)은 엉치뼈(천골)의 귓바퀴면과 결합하여 평면관절인 엉치엉덩관절(천장관절, sacroiliac joint ; S-I joint)을 이룬다.
계뼈통대계뼈통계
골반(pelvis)은 왼/오른쪽의 볼기뼈(관골, hip bone)와 뒤쪽의 엉치뼈(천골, sacrum) 및 꼬리뼈(미골, coccyx)에 의해 둘러싸인 커다란 그릇 모양의 뼈대이다. 골반은 그 내용 기관인 생식기 등을 보호하는 동시에 몸통을 밑에서 받침으로써 양 다리와 함께 체중을 받치는 중요한 뼈대이다. 볼기뼈(관골)는 후방에서 엉치엉덩관절(천장관절, sacroiliac joint)에 의해 엉치뼈와 결합하고, 앞쪽에서 두덩결합(치골결합, pubic symphysis)에 의해 양쪽이 결합되어 있다. 엉치엉덩관절은 움직이지 않는 반관절이며, 두덩결합(치골결합)은 섬유연골에 의한 결합이다.
골반 전체는 엉치뼈의 엉치뼈곶(갑각, promontory)으로부터 볼기뼈 속면의 활꼴선(궁상선, arcuate line)을 따라 양쪽 앞아래쪽으로 비스듬히 내려가서 두덩뼈결절(치골결절)에 이르는 분계선(terminal line)에 의해 윗부분의 큰골반(거짓골반, greater or false pelvis)과 아래의 작은골반(참골반, lesser or true pelvis)으로 구분된다. 보통 골반이라 하면 작은 골반을 가리키며, 그 내강을 골반안(골반강, pelvic cavity)이라 한다. 방광, 전립샘, 자궁, 자궁관, 난소 및 곧창자(직장) 등의 장기를 수용한다.
골반 위 입구는 분계선으로 둘러싸인 면으로 골반위입구(골반상구, superior pelvic aperture)라고 한다. 골반의 아래 출구는 골반아래입구(골반하구, inferior pelvic aperture)라 한다. 골반아래입구는 근육으로 덮여 있고 샅부위(회음부, perineum)라고 한다. 남성은 요도와 항문이 통과하고, 여성은 요도, 질 그리고 항문이 통과한다. 직립 자세에서 골반위입구는 수평면에 대하여 55~65도 기울어져 있는데, 이를 골반경사도(inclination of pelvis)라 한다.
계뼈통대계뼈통계
골반의 측정치는 여성의 분만 시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골반계측(pelvimetry)에서 가장 중요한 계측치는 결합지름(진결합선;전후직선, conjugate or anteroposterior diameter)이며, 엉치뼈곶과 두덩결합 뒤면 사이가 가장 짧은 거리이다. 한국인 영성의 평균 골반 지름은 11.0cm이며, 골반지름이 9.0cm 이하가 되면 협착골반(협골반, contracted pelvis)이라 하는데, 여러 가지 분만 장애가 일어나며 때로는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다.
생체에서는 결합지름(진결합선)을 측정할 수 없으므로 임상에서는 빗앞뒤지름(대각결합선, conjugata diagonalis ; 엉치뼈곶과 두덩결합 아래모서리를 연결하는 정중지름이며, 11.5~12.2cm), 외결합선(conjugata externa ;두덩결합 위모서리와 제 5허리뼈 가시돌기 꼭대기끝과의 거리로서, 19~20cm), 가시사이지름(극간경, interspinous diameter ; 왼/오른쪽 볼기뼈 앞위엉덩뼈가시 사이의 거리이며, 23cm), 능선사이지름(능간경, intercristal diameter ; 오른/왼엉덩뼈능선의 최대거리, 26cm) 등을 측정하여 이로부터 추정한다.
----
계뼈통대계뼈통계
종아리뼈(비골, fibular or splinter bone)
정강뼈(경골)의 바깥쪽에 나란히 서 있는 약간 가는 긴뼈(장뼈)이다. 위 끝의 뭉툭한 종아리뼈머리(비골두, head of fibula)는 안쪽에 관절면이 있어, 정강뼈 가쪽과 아래쪽의 종아리관절면(비골관절면)과 못움직성의 종아리관절(경비관절, tibiofibular joint)을 이루고 있다. 종아리뼈몸통(비골체, body of fibular)의 앞모서리는 가장 예리하고 그 뒤쪽에 뼈사이모서리(골간연)가 있다. 생체에서는 정강뼈(경골, tibia)와 종아리뼈(비골, fibular)의 뼈사이모서리(골간연) 사이는 종아리뼈사이막(하퇴골간막, interosseous membrane)으로 연결되어 있다. 종아리뼈 아래끝에는 가쪽복사(외과, lateral malleolus)가 돌출되어 있다. 가쪽복사의 가쪽면은 목말뼈(거골)와 관절한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6 (0) | 2025.02.19 |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5 (0) | 2025.02.19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3 (1) | 2025.02.19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2 (0) | 2025.02.17 |
계뼈통대계뼈통계 분류 - 팔다리뼈대(사지골격, Appendicularskeleton) 1 (0) | 2025.02.17 |